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Kotlin
- Github
- 의존성주입
- flow
- 안드로이드
- MVVM
- WebView
- 에러
- 깃헙
- error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
- 안드로이드스튜디오
- image
- studio
- 스튜디오
- Gradle
- 레트로핏
- 코틀린
- 코루틴
- build
- ADB
- coroutine
- 웹뷰
- Retrofit
- 유튜브
- dart
- Android
- RecyclerView
- viewpager
- 안스
- Today
- Total
목록deprecated (3)
코딩하는 일용직 노동자

startActivityForResult(), onActivityResult() 가 deprecated 되었습니다. 당장은 쓸 수 있지만 나중을 위해 새로운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일단 간단한 테스트 액티비티를 만들겠습니다. MainActivity 와 이동할 SubActivity를 만들겠습니다. - MainActivity.java package com.lee.starttest; import androidx.annotation.Nullable; import androidx.appcompat.app.AppCompatActivity; import android.content.Intent; import android.os.Bundle; import android.util.Log; import androi..

그동안 안드로이드 Java 에서 비동기 작업을 할때 많이 사용되던 AsyncTask 가 Android11 에서 deprecated 되었습니다. Kotlin 으로 개발할때는 Coroutine 을 사용하기 때문에 큰 불편함이 없겠지만, Java로 개발할 경우에는 AsyncTask 를 대체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. 구글링을 해보면 AsyncTask 를 대체하기 위해 RxJava 를 이용한 처리를 추천하는 포스팅이 많습니다만, Rx에 익숙하지 않은 저로써는 다른 방법을 찾고 싶었습니다. 소개해드릴 비동기처리 라이브러리는 Needle 입니다. Java로 만들어진 안드로이드 멀티쓰레드 라이브러리입니다. 소스를 살펴보니 Executor와 Runnable 을 사용해서 만들어져 있습니다. 나온지 꽤 오래되었고 v1.0...

Android 10(Q) 부터는 기존의 저장공간과는 다른 개념으로 바뀌었습니다. 10 이전의 안드로이드는 기본적으로 내부저장공간과 외부저장공간으로 나뉩니다. # Android 10(Q) 이전의 Storage 내부저장공간은 샌드박스 형식으로 보호되는 공간을 할당받습니다. ex) com.kakao.talk, com.kakao.story, com.app.a 그리고 각 앱은 자신의 저장공간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. 10 에서도 내부저장공간은 마찬가지로 사용됩니다. 반면 외부저장공간은 하나의 큰 공통저장공간으로 운영되었습니다. READ_EXTERNAL_STORAGE/WRITE_EXTERNAL_STORAGE 권한만 있으면 어떤앱이 작성한 파일이든, 어느 경로에 있든, 어떤 파일이든 모두 접근/수정할 수 있었..